방산 3사 폴란드 수주…대금 회수 불가능 우려 확산
EU 재정의존도와 국제정세 변동 영향
시설증설과 인력수급도 모니터링 예정
공개 2022-12-08 15:39:51
 
[IB토마토 이하영 기자] 최근 국내 방산 3사(현대로템(064350)·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가 폴란드와 전차·자주포·항공기 등 수출 계약을 맺으며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평사는 폴란드의 EU 재정의존도가 높고 국제정세 영향이 크다는 점 등을 들어 원활한 대금 회수가능성에 우려를 제기했다.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는 지난 6일 ‘폴란드 수주 방산기업들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리포트에서 스위스향 모기지 채무부담, 강한 EU 재정의존도, 에너지 비용부담 상승 등을 수주 대금 회수 불안 요소로 지목했다. 
 
폴란드 정관계 인사와 한국 측 민관 인사들이 지난 6일(현지시간) 폴란드 그드니아에서 열린 K2·K9 입하 환영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현대로템)
 
국내 방산기업들은 지난 8~9월에 걸쳐 폴란드 정부·군비청과 △현대로템, K2전차 4조499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K-9 자주포 3조2039억원 △한국항공우주산업, 항공기 4조2081억원 등의 수출 계약을 맺었다. 
 
이 중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지난 11월 약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의 선수금을 수령했다.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지난 8월 체결한 계약분에 대한 대금 중 약 30% 상당을 2022~2023년 중 선수금으로 지급받을 예정이나, 폴란드 정부와 군비청의 재정 상황에 따라 잔금 지급 시기와 규모가 변경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나신평은 대금 지급 불안요소로 향후 국제정세 변화와 폴란드 정권 변경 등을 손꼽았다. 현재 폴란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시상황이라는 특수성이 있다. 전쟁지역 인접국인 만큼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며 전력 공백이 발생해 무기 도입의 시급성이 우선시 됐다. 그러나 대다수 물량이 2024년 이후 공급예정으로 국제정세 변화로 인해 계약 이행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폴란드 재정 상황도 여유로운 편은 아니다. 2000년대 중반 많은 폴란드 국민들이 상대적으로 저금리였던 스위스프랑 모기지 대출을 받아 관련 대출 잔액이 급증했다. 2008년 이후 폴란드 화폐인 즈워티화가 스위스프랑에 비해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여 채무 부담이 늘어났다. 이로인해 올해 9월 폴란드 중앙은행은 자국 내 10위권 은행인 게틴은행에 22억 달러 구제금융을 진행했다. 폴란드 금융감독국은 스위스 프랑 모기지 관련 소송 결과에 따른 은행권 최대 비용 부담을 자기자본대비 130% 수준인 약 2340억 즈워티(약 69조원)로 추정했다. 
 
폴란드는 지난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53.8%로 비교적 우수한 편이나, 공공투자 지출 확대로 EU 회원국 중 EU의 예산지출을 가장 많이 수령하는 국가로 나타났다. 폴란드는 2027년까지 보조금과 저금리 대출 등 약 1500억 유로를 EU로부터 지원받는 등 높은 재정의존도는 계속될 전망이다. EU의 자금지원 규모가 수주 대금 회수와 추가 수주 가능성 요인으로 지목되는 이유다.   
 
지속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로 산업 기반약화도 불안요소다. 유럽은 러시아산 가스를 대체하기 위해 미국 등지에서 수입을 늘리고 있지만, 에너지 수급을 완전히 대체하지 못해 생산비용 증가로 문 닫는 공장들이 생기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폴란드도 주요 교역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 영향으로 2023년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방산 3사는 대규모 수주에 따른 시설 증설 이슈도 해결해야 한다. 1차계약분 중 일부는 기성 재고 납품으로 즉시 수출이 가능했지만, 대다수 물량이 2024년 이후 공급되는 만큼 원자재 발주와 더불어 인력 추가 채용이 불가피하다. 
 
김나연 나신평 책임연구원은 “선수금 수령으로 단기간 운전자금 대응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재차 2차 물량에 대한 본계약 체결시 중장기적인 시설증설과 인력 채용 등 자금 소요가 예상된다”며 “특히 최근 폴란드와의 대규모 수주 외에도 국제정세 변화에 따라 각국의 국방 강화가 촉진돼, 수주량 증가에 따른 시설증설 및 인력수급 추이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하영 기자 greenbooks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