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 대손비용률 최하위…충당금 공포 수면 위로
중기대출·코로나19 민감업종 대출 비중 업계 상위권
신용평가사 "지난해 대손비용 절감 통해 수익성 개선"
공개 2022-03-02 06:00:00
사진/광주은행
 
[IB토마토 김형일 기자] 광주은행이 비용 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 수익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손비용률이 지방은행 중 최하위로 나타나면서 충당금 추가적립 부담이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의 부실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며 충당금 추가 적립을 강하게 주문하고 있다. 특히 광주은행은 중소기업대출, 코로나19 민감업종 대출 비중이 높아 부실채권 상각과 충당금 적립 등으로 인한 대손충당금전입액 증가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 12일 보고서를 통해 금융당국과 비슷한 견해를 내놨다. 금융권이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중소기업 대출에 대해 만기연장, 원리금 상환유예 등의 지원을 해줬다며 이러한 지원정책이 부실의 현재화를 연기해준 측면이 있다고 피력했다. 또 현 상황이 부실대출 기준으로 산출된 대손충당금적립률을 불충분한 지표, 오인을 유도하는 지표로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지난해 광주은행의 대손비용률은 0.18%로 지방은행 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BNK경남은행은 0.32%, DGB대구은행은 0.25%, 전북은행은 0.23%, BNK부산은행은 0.21%로 집계됐다. 대손비용률은 대손충당금 대비 총대출로, 손실에 대비해 충당금을 얼마나 쌓았는지를 보여준다. 금융당국이 은행권 건전성 분류 기준에 코로나19 특수성이 제대로 포함되지 않았다고 주장한 것을 고려하면 해당 비율의 중요성은 지대하다.
 
아울러 광주은행의 경우 금융당국이 우려한 중소기업대출이 큰 포지션을 차지했다. 지난해 기업대출 11조4960억원 가운데 해당 비중은 96.5%(11조874억원)로 집계됐다. 같은 JB금융지주(175330) 계열사인 전북은행이 95.1%(7조9503억원), 대구은행이 89.5%(27조8409억원), 경남은행이 92.5%(21조3466억원), 부산은행이 92.8%(30조6170억원)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의존도가 높았던 셈이다.
 
특히 광주은행은 코로나19 민감업종인 부동산·임대업과 도·소매업에 대출을 꽤 내줬다. 기업대출 중 52.1%(5조9894억원)가 이와 관련된 대출이었다. 전북은행이 53%(4조4322억원)를 가리켰으나 경남은행 33%(7조6100억원), 대구은행 37.1%(11조5470억원), 부산은행 45.4%(14조9705억원)와 견줘보면 대조적인 수준을 보였다. 즉 광주은행은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는 대출을 다수 취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했다는 뜻이다.
 
  
광주은행은 대손비용 절감을 바탕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한국기업평가(034950)는 이같이 밝히며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633억원으로 전년 동기 1377억원 대비 18.6% 불어났다고 덧붙였다. 나이스신용평가 역시 이러한 이유로 지난해 3분기 광주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지방은행 평균과 동일한 0.8%로 산출됐다며 시중은행 평균(0.6%)을 0.2%p 웃돌았다고 보탰다.
 
이에 따라 송종욱 광주은행장의 기치인 수익성 중심 내실경영 강화에도 제동이 걸렸다. 송 행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2022년 금융산업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 생존을 위한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전략대출과 투자은행(IB)자산 중심 핵심사업, 지역 중소기업대출 기반의 사업 확대로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을 강화하겠다”라고 언급했다.
 
여기에 일각에선 금융당국의 압박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금융지원이 내달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정치권 등의 요청으로 사실상 연장이 확정됐다는 이유를 들었다. 지난 21일 여야 합의로 ‘소상공인 및 방역 지원을 위한 추가경정 예산안’이 의결·확정된 이후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금융지원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금융사들의 대손충당금 적립실적을 점검해 충분한 적립을 유도하고 예상손실 전망모형 점검 등 제도개선을 병행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금융당국의 요청에 따라 충당금 추가 적립을 계획하고 있다”라며 “대손비용률 또한 상승이 불가피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비용 증가가 수익성을 저해시킬 수 있으나 이자수익과 비이자수익 등 다양한 수익원이 이를 상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설명했다.
 
김형일 기자 ktripod4@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