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뮤직, 1위 추격 여전히 '까마득'…과열경쟁 속 과제 산적
지난해 영업이익 115억원…전년비 42% 증가
자정력 기르며 사업 영역 확장…재무지표 건전
올해 패권 다툼 더욱 치열할 듯…원가 감축도 해결 과제
공개 2021-03-15 09:30:00
[IB토마토 김성현 기자] 지니뮤직(043610)은 지난해 창사 이래 최초로 영업이익 세 자릿수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했다. 전략적 흡수합병과 해외 유통망 확대 등 경영 행보가 빛을 발한 결과다. 하지만 올해는 이러한 성장가도를 달리기에 녹록지 않은 해가 될 전망이다. 업계 1위인 멜론의 독주로 점유율 격차가 크게 벌어져 2위의 설움을 씻어내기도 역부족인데다 후발주자들의 성장세에 2위 자리를 지키는 것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한때 3강으로 분류됐지만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NHN벅스를 반면교사 삼아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더해 격화되는 경쟁 속에 마케팅비 증가 등 원가 상승에 대한 자구책 마련도 당면한 과제로 꼽힌다.
 
지니뮤직은 지난해 군더더기 없는 성적표를 받았다. 11일 금융감도권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회사 매출액은 약 2470억원, 영업이익은 115억원으로, 2019년 대비 순서대로 약 7%, 42% 늘었다. 순이익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95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100억원을 웃돌았고, -2억원 내외였던 잉여현금흐름(FCF)도 3분기까지 60억원 가까이 끌어올렸다. 회사 자체 자금조달능력을 평가하는 내부순현금흐름(ICF)도 2019년 -65억원에서 48억원으로 개선됐다. 부채비율은 작년 3분기 누적 기준 48.4%로, 전년 동기(약 66%) 대비 15% 이상 수치를 줄였다. 
 
지니뮤직 2019~2020년 실적 추이. 출처/한국기업평가
 
타인자본에 의존하기보다, 자정력을 기르며 외형을 확장해온 그간의 전략이 힘을 발휘해 이같은 호실적을 견인했다. 2019년 지니뮤직은 CJ디지털뮤직의 엠넷닷컴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해, 중복비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흡수합병을 진행했다. 그 결과 엠넷닷컴이 보유한 음원과 방송 영상 콘텐츠를 확보했고, 기존 가입자를 회사로 유입시키며 사업 확대에 성공했다.
 
또 회사 3대주주인 KT(030200)CJ ENM(035760), 그리고 LG유플러스(032640)로부터 투자받으며 음원 플랫폼 시장에서 내실을 다져왔다. 콘텐츠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지니뮤직의 B2B 음원유통에 활력을 불어넣는가 하면, 콘텐츠 제휴에서도 경쟁업체 대비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해 상승곡선의 밑그림을 그린 지니뮤직이 업계 헤게모니 싸움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느냐가 올해는 최대 과제다. 지니뮤직 작년 3분기 보고서를 보면 음악사업 매출 비중은 약 97%, IT 개발 용역과 MD 등 기타사업 매출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먼저, 핵심 수입원인 음악사업에서의 경쟁력 제고가 성장 가속을 위한 출발점이다.
 
그러나 여전히 강세인 업계 1위 멜론(카카오(035720))과 후발주자의 잇단 등장으로 인해 패권 다툼은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매출액으로 비교해보면, 1위 멜론과의 수치 차이는 확연히 드러난다. 2019년 카카오 연간 실적을 보면, 콘텐츠 뮤직(멜론 음원유통 외 카카오뮤직, 티켓 포함) 매출액은 약 5866억원으로, 지니뮤직 매출액(2305억원) 대비 150%가량 높았다.
 
간극은 좁혀지지 않았다. 카카오 콘텐츠 뮤직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6126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4.0%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지니뮤직 연간 매출액(2470억원)과 비교했을 때 수치 차이는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국내 음악시장 실사용자 기준 점유율에서 멜론이 40.3%로 선두를, 지니뮤직이 24.6%로 그 뒤를 이었다.
 
최근 추이를 종합하면 멜론은 시장 내 30~40%, 지니뮤직은 16~25%가량 점유율을 점하고 있다. 멜론 아성에 균열을 냈지만, 이는 플로(SK텔레콤(017670))와 유튜브뮤직, 바이브 등이 경쟁 대열에 합류한 데 따른 결과다. 
 
플로, 유튜브뮤직은 음원 플랫폼 시장에서 10% 내외 점유율을 차지하며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있다. 지인해 한화투자증권(003530) 연구원은 지니뮤직을 두고 “산업변화에 따라 가격 경쟁이 불가피할 경우, 예상보다 큰 비용 증가가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플로 출연 이전에 멜론·지니뮤직과 음원 플랫폼 ‘3강’ 체제를 구축하던 NHN벅스(104200)는 최근 5% 내외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주춤한 기색이 역력하다.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한 탓이다. NHN벅스는 지난해 매출액 687억원, 영업이익 1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순서대로 19%, 79%가량 하락세를 보였다. 순이익은 2019년 41억원에서 이듬해 마이너스 구간에 진입, 순손실 38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물론, 지니뮤직이 넋 놓고 있지만은 않았다. 회사는 중국 텐센트뮤직, FUGA와 지난해 5월 협업 물꼬를 텄다. K-POP 음원 공급 계약으로,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산하의 QQ뮤직 등에 음원을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다. 더불어 FUGA를 통해 미국 아마존 뮤직, 인도 지오사반 등 50여개 해외 플랫폼으로 유통망을 늘려가 사업 저변을 넓혀갔다.
 
음악사업 내 해외매출은 2018년 35억원에서 이듬해 121억원, 이어 작년 3분기 누적 기준 140억원으로 불어나 2018년 대비 300% 성장세를 나타냈다. 유통 사업보다 음원 서비스에 무게를 두는 업계 1위 멜론의 사업 구조가 지닌 틈새를 지니뮤직이 공략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회사를 지탱하는 본토는 여전히 한국 시장이다
 
작년 3분기 기준 국내외 매출액은 각각 1638억원, 140억원으로 집계됐다. 내수 시장 비중이 약 92%를 차지한다. 해외 유통망 확대는 고무적이지만, 대부분 수익 창출이 플랫폼 이용료 등 국내 서비스 사업에서 비롯된다. 
 
지니뮤직은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지분법적용 대상 주식이 없다. 투자활동에 따른 현금 유입이 ‘0’으로 수렴하는 만큼, 본업인 플랫폼 사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수익 창출에 절대적인 요인이라는 해석이다. 순수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으로 리스부채 상환 등 재무활동에 소요 자금을 충당하는 사업구조상 본업 내실을 다지는 데 좀 더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지니뮤직 수익 구조, 영업비용 전망. 출처/지니뮤직 IR자료(2020년 3분기 기준)
  
원가 상승 요인도 짚고 넘어갈 부분이다. 지난해 3분기 지니뮤직의 영업비용 변화를 보면, 인건비(46억원)를 제외하고 전년 동기 대비 비용절감을 일궈내며 영업이익 상승을 이끌었다. 음원 원가는 48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광고선전비(6억원)의 경우 2019년 같은 기간보다 50%가량 줄었다.
 
올해 패권 다툼을 위한 마케팅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원가 부담은 특히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음원사용료 징수규정의 단계적 개정에 따라 30곡 이상 다운로드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합한 상품에 대한 음원 할인이 단계적으로 축소되고, 아울러 최대 65%까지 제공되던 할인 혜택은 올해부터 전면 금지된다.
 
여기에 구글이 연내 ‘구글 인앱결제’ 의무화를 예고하면서 최대 30% 수수료를 추가적으로 부담해야 한다. 지난해 지니뮤직 분기별 실적을 보면, 영업비 중 원가성 비용은 1분기 490억원, 2분기 486억원, 3분기 480억원으로 소폭 감소세를 지속했다. 이로 인해 1~3분기 영업이익률은 순서대로 3.4%, 5.0%, 6.1%로 상승기류를 탔다. 원가 상승이 곧 회사 전체 수익성 악화를 초래할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지니뮤직 관계자는 <IB토마토>에 “지니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 시켜 유료가입자를 늘리고, 음원 유통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올해 사업 전략이다”라며 “KT, CJ ENM, LG유플러스와의 협력을 강화해 프리미엄 음악콘텐츠 시너지를 창출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다”라고 했다. 
 
이어 “음원사용로 징수규정 개정안에 따른 원가 증가 요인은 플랫폼 퀄리티를 높여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두는 등 세부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성현 기자 shkim@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