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로 전진나팔 부는 포스코케미칼…재무부담 견딜까
포트폴리오 전환 중…전기차용 양극재·음극재 비중 늘어나
투자에 따른 재무지표 악화 전망…신용등급 하향 트리거 충족도 가능
공개 2019-09-26 09:00:00
[IB토마토 김태호 기자] 포스코(005490)의 자회사 포스코케미칼(003670)이 2차전지 소재 사업 비중 확대를 위해 투자를 크게 늘리며 신용등급 아웃룩 강등 수준의 재무안정성 압박이 예상된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안정적 사업기반과 매출규모 증대로 실적 안정화가 기대되고 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등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의 올해 반기 2차전지 소재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한 944억원을 기록했다. 총 매출의 13.5%로, 전년 동기 대비 7.5%포인트 늘어났다. 단기적으로는 포스코켐택-포스코ESM 합병에 따른 실적 합산 덕분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사업 포트폴리오 대전환이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포스코켐택은 올해 3월 말 포스코케미칼로 사명을 바꿨고, 4월 초 포스코ESM을 흡수합병했다. 포스코켐택이 영위하던 음극재 사업과, 포스코ESM의 양극재 사업을 통합해 전기차 배터리 소재 시장 내 입지를 넓히려는 목적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오는 2021년까지 2차전지 소재 매출액 2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8년 대비 22배 많은 수준이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포스코케미칼의 2차전지 소재사업 이익기여도는 올해 16%에 불과하지만 2021년에는 45%, 2022년에는 55%에 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분석했다.
 
포스코케미칼 2차전지소재 매출액 변동 추이. 출처/포스코케미칼 등
 
양극재, NCM622 앞세워 전기차 시장 공략
 
포스코케미칼의 올해 양극재 매출비중은 2차전지 소재사업 매출 비중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양극재 주력 제품은 니켈코발트망간(NCM) 활물질이다. 아직까지는 IT/모바일용 NCM이 주력이다. 올해 반기 양극재 매출 중 IT/모바일용은 전체의 77% 내외를 차지하며, NCM 비중은 79%에 이른다. 다만, 앞으로는 전기차용 매출 비중이 늘어날 전망이다.
 
광양에 ‘NCM622’ 생산 라인을 증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계획대로 된다면, 포스코케미칼의 2022년 양극재 생산량은 지난 2018년 대비 6.3배 증가한 5만7000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 경우 매출액도 크게 늘어날 수 있다.
  
2019년 3월 27일 포항 본사에서 진행된 ‘포스코케미칼 사명 변경 및 창립 48주년 기념’ 행사에서 임직원들이 사명 제막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케미칼
 
NCM622는 니켈, 코발트, 망간을 각각 6:2:2 비율로 혼합한 양극재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의 양극재 전량은 LG화학(051910)에 납품되고 있다. NCM622가 자동차 배터리용 양극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까지 크지 않다. 다만, 성장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니켈 비중이 높을수록 배터리 용량이 커지는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양극활물질은 NCM523이기 때문이다.
 
전기차 시장분석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사용량 중 NCM622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1.6%포인트 증가한 12.1%를 기록했다. SNE리서치는 "올해 들어 NCM523과 NCM622 투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과 NCM622 조합 및 NCM811조합도 두각을 나타내는 양상"이라며 "추후에는 NCM622 조합 및 NCM811조합이 더욱 늘어나면서 NCM811이 단독으로 본격 등장할 것도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2019년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활물질 글로벌 사용량 비중. 출처/SNE리서치
 
음극재, 현재와 미래 동시 대비 중
 
음극재의 경우, 현재 천연흑연만 만들고 있다. 생산시설을 늘리고 있으며, 공사는 내년 말 끝날 예정이다. 계획대로 되면 포스코케미칼의 2021년 천연흑연 생산능력은 지난해 대비 약 3.1배 많은 7만4000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인조흑연 생산도 계획하고 있다. 앞으로 천연흑연 사용 비중이 줄고, 인조흑연 비중이 높아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에너지시장 전문조사기관 아비센 에너지(avicenne energy) 2017년 통계에 따르면, 천연흑연의 2015~2025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에 그치지만, 인조흑연 CAGR은 15%에 이를 전망이다.
 
음극재 활물질은 주로 흑연이 쓰이고, 흑연은 크게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으로 나뉜다. 천연흑연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저장용량도 크지만, 내부결정이 불규칙해 배터리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반면, 인조흑연은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 수 있어 전기차 배터리 제작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의 인조흑연 상업화는 2021년 본격화될 예정이다. 연간 2만톤의 인조흑연 생산이 전망된다. 특히, 인조흑연의 안정적인 원료 수급도 가능한 상황이다. 원재료인 석탄계 콜타르가 제철과정에서 나오며, 포스코케미칼 자회사인 피엠씨텍은 콜타르를 코크스로 가공하는 기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포스코->피엠씨텍->포스코케미칼의 계열화가 가능한 셈이다.
 
천연 흑연계 음극재 생산과정. 사진/포스코케미칼
 
투자로 인한 재무안정성 저하...신용등급은?
 
포트폴리오 대전환이 이뤄지려면 거액의 투자가 선행될 수밖에 없다. 실제 포스코케미칼은 상당액의 자금투입을 계획하고 있다.
 
양극재의 경우, 내년 3월 공사 완료될 NCM622 양극재 생산라인 증설에 총액 3450억원이 투자된다. 음극재의 경우, 내년 4분기 완료될 천연흑연 생산시설 증설에 총액 2683억원이 소요된다. 인조흑연의 경우 2022년까지 약 2632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그 외 경상적 투자와 2차전지 연구소 공동 설립에도 비용이 소요될 예정이다.
 
단순 계산하면 2022년까지 총액 8765억원의 투자비용이 들어갈 전망이다. 투자비용이 현금창출력을 한참 넘어서는 셈이다. 포스코케미칼의 올해 연 환산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1200억원 수준이다. 즉, 외부 차입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로 포스코케미칼은 2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 등을 앞두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이 자랑하던 ‘실질 무차입 경영’ 기조가 깨지는 셈이다. 포스코케미칼의 올해 반기 연결기준 순차입금은 마이너스(-) 120억원을 기록했다. 
 
포스코케미칼 연결기준 순차입금 변동 추이.출처/한국기업평가
 
재무안정성 지표가 저하되면, 단기적으로 신용등급 압박을 받을 수도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포스코케미칼의 재무안정성 관련 하향 트리거로 순차입금/EBITDA 3.5배 초과 등을, 한국신용평가는 순차입금/EBITDA 3배 초과 지속을 제시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부채비율 90% 초과 등을 제시하고 있다.
 
올해 반기 실적을 토대로 단순 계산했을 경우, 대략 6000억원의 이상의 차입금이 추가 계상되면 신평사의 하향검토 트리거가 발동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의 공장 증설 관련 투자액만 올해 반기 기준으로 약 6378억원 남았다.
 
한국기업평가는 “2021년까지 1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지출이 발생할 예정”이라며 “투자 확대에 따라 차입금의존도, 순차입금/EBITDA는 각각 35%, 3~4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증설 투자에 대한 자금소요 확대로 일시적인 재무안정성 지표 저하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다만, 안정적 사업기반이 단기적인 재무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포스코케미칼은 2차 소재사업 외에도 내화물, 화성물, 생석회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비중이 지난해 기준 각각 37.7%, 25%, 30.6%로 고른 편이다. 
 
해당 산업은 원유, 니켈, 생석회 등 원자재 가격에 따른 수익 변동 가능성이 있다. 일례로 포스코케미칼의 지난 4년(2015~2018) 연결기준 영업이익률은 4.6%~8.7%를 오갔다. 대신 성숙기에 진입했으며 거래처도 확실해 수익이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포스코케미칼의 올해 반기 연결기준 특수관계자 매출 비중은 전체의 73.7%, 매출원가의 40.4%를 차지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회사의 안정적 사업기반을 바탕으로 한 현금창출력 규모와 계열 내 지원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향후 자본적 지출에 원활히 대응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포스코케미칼의 부채비율이 2020년 39%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향후 투자시설이 본격 가동되면 매출 규모가 확대돼 재무안정성도 회복될 수 있다. 곧 신용등급 하향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기업평가는 “신사업 부문의 높은 채산성이 정체된 기존 사업 부문의 수익성을 보완하면서 중기적으로 우수한 수익성을 유지할 전망"이라며 "중기 이후 신사업 부문의 영업실적 안정화로 재무부담이 일정 수준은 경감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김태호 기자 oldcokewav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