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미국·유럽 업고...'글로벌 1위' 도전 통할까
IRA이어 RMA 법안까지…중국 배제 반사이익 기대
점유율 격차 해소 전망…소재 밸류체인 강화로 대응
공개 2022-11-30 07:00:00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8일 06:00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이하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373220)(LG엔솔)이 미국 인플레이션방지법(IRA)에 이어 유럽원자재법(RMA) 입법 예고에 글로벌 선두자리를 향한 도전에 나선다. 중국 기업인 CATL이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1위 업체지만 IRA 영향으로 미국 진출을 포기한 바 있어 IRA와 RMA가 LG엔솔에는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바꿀 핵심 기회라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지난 9월 폰 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연례 정책연설에서 희토류와 리튬 등의 중국 의존도를 경고하며 전략적 매장량 구축을 위한 RMA 입법을 예고했다. RMA는 주요 산업분야에 한해 예외적으로 원자재 국별 보조금 지급을 허용하는 제도다.
 
배터리셀을 살펴보는 연구원들(사진=LG에너지솔루션)
 
주요 원자재는 인프라, 반도체, 수소 등과 함께 배터리 사업에 걸쳐 있다. EU는 배터리 분야 원자재 공급을 위해 1·2차에 걸쳐 61억 유로(약 8조4000억원) 지원을 결정지었다. EU 집행위는 배터리의 원자재와 원자재 가공 분야의 중국 의존을 심각한 공급망 위기로 파악했다. 이에 중국 외의 다른 원자재 국가를 적극적으로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2차전지 배터리업계도 EU의 행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EU가 미국의 IRA처럼 중국과 선긋기에 나선다면 우리 기업들의 설자리가 훨씬 넓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CATL을 필두로 한 중국업체의 공세에 국내 배터리업체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어 RMA 관심이 높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비중국 시장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조사 결과 LG엔솔(30.1%)이 CATL(18.9%)을 11.2%포인트 차로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점유율이 3.1% 감소한 수치다.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1위 CATL과 2위 LG엔솔의 격차가 2021년 9.1%포인트에서 2022년 9월말 기준 21%포인트로 2배 이상 벌어졌다. 특히 올해 3분기 누적 성장률은 CATL이 100.3%, LG엔솔이 14.1%로 5배 넘게 차이나 위기가 감지된다. LG엔솔로서는 점유율 방어가 시급한 시점이다.
 
이 때문에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RMA법이 LG엔솔에는 더 중요해졌다. 법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원자재의 중국 의존율을 낮추겠다는 의도가 분명해서다. EU에서도 중국산 2차전지 배터리나 전지소재를 제한하는 법안이 통과되면 IRA처럼 LG엔솔의 점유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평가도 일치한다. SNE리서치는 전일 경북 포항에서 열린 ‘배터리 선도도시 포항 국제 컨퍼런스 2022’에서 IRA 발효로 CATL의 투자가 철회되며 국내 배터리 3사(LG엔솔·SK온·삼성SDI(006400))의 북미 생산능력이 2025년까지 355GWh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체 67.4% 수준이다.
 
북미 생산능력이 늘면서 배터리 3사 수주잔고도 3분기 기준 700조원에서 내년 연말까지 1000조원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다. LG엔솔은 9월 말 기준 370조원의 수주잔고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RMA 법안의 통과 여부에 따라 수주잔고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 조사에 따르면 유럽 전기차 침투율은 2025년이 되어서야 18%가 된다. 향후 대규모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이유다.
 
 
바뀐 시류에 대응하기 위해 LG엔솔은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소재 밸류체인의 발 빠른 구축에 나섰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독일 벌칸 에너지에 수산화리튬 4만5000톤, 호주 라이온타운에 리튬 정광 70만톤, 캐나다 일렉트라에 황산코발트 7000톤, 미국 콤파스 미네랄에 수산화리튬 연간 4400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모회사 LG화학(051910)도 2차전지 양극재 강화에 나섰다. 미국 테네시주에 4조원을 들여 연간 약 120만대분 2차전지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한다. 2차전지 재료는 양극재, 분리막, 바인더, 실리콘 음극재 등으로 늘려가며 LG엔솔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최고 수준의 전지 메탈 수급과 건식제련 기술을 갖춘 고려아연과 자사주 맞교환으로 IRA 동맹도 선언했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미국, 유럽 중심 중국 제재 정책이 시작되면서 탈중국 공급망 구축이 중요해졌다”라며 “LG엔솔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리튬(Li), 니켈(Ni), 코발트(Co) 등 핵심 광물에 대한 투자를 가장 활발하게 진행하며 배터리 소재 생태계를 흡수 중인 LG화학과 함께 소재 수직계열화까지 마련된 상태로 완성차와의 조인트벤처(JV), 수주 확대 측면에서 수혜가 가장 크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 내 GM, 스텔란티스, 혼다 등과 JV를 맺고 있으며,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려는 완성차 중심 JV에 대한 접촉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LG엔솔 관계자는 <IB토마토>에 “RMA 법은 유럽 내 전략적 핵심원자재를 선정해 밸류 체인을 강화하고 공급망 다변화로 위기대응 역량 개선을 골자로 한다”라며 “해당 원자재법의 구체적인 내용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이하영 기자 greenbooks7@etomato.com
 
제보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