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의 변신…풍력·LNG로 정책 리스크 최소화
올해 수주 목표 8조6000억…2023년까지 연 8조 수주 유지 전망
시장 커지는 풍력발전·정부가 주력하는 LNG 발전 분야서 두각
공개 2021-08-20 09:30:00
이 기사는 2021년 08월 18일 10:58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김성훈 기자] 지난달 6일, 윤석열 국민의힘 예비 대선 후보의 원자력발전 지지 행보에 2만6000원 이상으로 뛰었던 두산중공업(034020)의 주가는 그 후 이어진 호재에도 불구하고 현재 2만원 선으로 내려앉았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흔들리는 원전주(株)’라는 인식이 아직 투자자들 사이에 남은 탓이다. 그러나 지금의 두산중공업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 여파로 리스크를 고스란히 떠안았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정책에 대응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쌓는 데에 역량을 쏟으며 재기의 희망을 만들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이달 초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모한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 2단계 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5월부터 8개월간 진행된 1단계 사업에서는 지자체와 연계한 4곳의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과제를 진행했지만, 이번 2단계에서는 1단계 참여 컨소시엄 간 경쟁을 통해 두산중공업 컨소시엄이 단독으로 선정됐다. 두산중공업은 앞으로 51개월간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70억원을 지원받아 한국형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조감도. 사진/두산중공업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은 고정식 풍력발전기 보다 조성 비용은 더 들지만, 바람이 강한 먼 바다에 설치해 발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안이나 근해에 조성되는 고정식 풍력발전시스템의 경우 인근 지역 주민과의 협의가 필수적이지만, 부유식은 이 과정이 생략돼 빠른 설치가 가능하다.
 
두산중공업이 해외에서도 아직 작은 규모인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에 나서는 것은 단순히 장점이 많기 때문만은 아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돈이 되지 않지만, 풍력 발전 시장 확대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라고 전했다. 화력·원자력으로 수익을 내던 2005년, 풍력 시장을 내다보고 준비했던 것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국내에 239.5㎿ 규모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했으며 이 중 96㎿가 해상풍력이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풍력발전기 완제품을 생산해 납품한다. 풍력발전 관련 거의 모든 기술을 확보하고 있기에, 어떠한 형태의 풍력발전이든 시장이 커진다면 두산중공업에는 곧 기회가 되는 것이다. 
 
특히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의 경우 상업화가 되면 사업의 주체가 될 가능성이 큰 곳 중 하나로 대형 조선소가 꼽힌다. 고정이 아닌 부유식인 만큼 관련 선박 제조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유지 관리 노하우도 접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한국해사기술 등이 시스템 개발에 함께 참여하는 이유다. 향후 국내 조선해양 기업들이 부유식 풍력발전 시장에 진출하면 두산중공업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세계 해상풍력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236.5기가와트(GW)로 확장될 전망인데, 지난 5월 한전 경영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이 중 부유식 해상풍력은 6.5GW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례로 삼성중공업(010140)은 지난달 9.5메가와트(MW)급 대형 해상풍력 부유체 모델을 개발하고 기본설계 인증을 획득했다. 지난 2008년 풍력발전 시장에 진출했다가 사업을 접었던 삼성중공업이 ‘부유식 풍력발전’은 잘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터빈 제조를 주력으로 했던 과거와는 달리, 해양플랜트사업부가 진행하는 하부 철 구조물 제조의 영역을 확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 중인 두산중공업 직원들. 사진/두산중공업
 
LNG가스터빈 역시 대규모 수주가 기대되는 분야다. 지난 2019년, 두산중공업은 전량을 수입해 쓰던 LNG 발전용 가스터빈을 국내 최초, 세계에서는 다섯 번째로 개발했다. 가스터빈은 1기당 가격이 수백억원에 달하며, 2019년 기준으로 가스터빈 구매비용은 8조1,000억원·유지보수 등 기타 비용을 더하면 12조 3000억원이었다. 이후 가스터빈 관련 수주 증가에 따른 두산중공업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이유다. 
 
정부의 지원도 예상된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기준 41.3GW인 LNG 발전 규모를 2034년까지 59.1GW로 17.8GW 늘릴 방침이다. 같은 기간 석탄화력발전 축소 규모가 6.8GW, 원전 감축 규모가 3.9GW임을 고려하면 LNG 발전용 가스터빈 납품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정부에서 LNG 발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는 것은, 원전보다 안전하면서도 석탄화력발전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어서다. 석탄화력발전소의 발전 효율은 40% 수준인 데에 비해 LNG복합발전의 에너지 효율은 75~90%에 달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석탄화력발전소의 40% 수준이며, 황산화물은 아예 배출되지 않는다. 풍력이나 태양광으로 대규모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국내 자연환경을 고려하면, 부지확보만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LNG복합발전이 훨씬 효율적이다. 학계 관계자는 “비교우위와 국내 환경 등을 고려하면 정권이 바뀌어도 LNG복합발전 관련 계획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라고 예상했다. 세계 시장 전망도 밝은데, 미국의 IHS 케임브리지에너지연구소(CERA)는 2018년부터 2028년까지 총 432GW의 가스발전이 신규 설치될 것으로 내다봤다.
 
두산중공업은 이르면 올해 말부터 가스터빈 시운전을 시작, 김포열병합발전소가 완공되는 2023년부터는 수주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2026년까지 가스터빈 사업을 연 매출 3조원 규모 사업으로 키우겠다는 것이 두산중공업의 목표다. 이동헌 대신증권 연구원은 “화력발전소가 30개 폐쇄되는 대신 가스터빈발전소 24개가 신규로 나올 것”이라며 “두산중공업은 이 중 15개 이상을 수주해 올 계획”이라고 전했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9006억원, 영업이익 254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1.7% 늘고 영업이익도 500억원 적자에서 609% 이상 증가했다. 이동헌 연구원은 “올해 수주 계획은 8.6조원으로 작년 5.5조 대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가스터빈 △신재생 △원자력 분야 수주 증가로 내년, 내후년에도 8조원 이상 수주를 기록할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최재호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위원 역시 “2021년 3월 말 기준 수주잔고가 14조4000억원이며 연간 4조원을 상회하는 신규 수주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과 해외 발전·담수 프로젝트 등 해외 수주가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중단기적으로 현 수준의 매출 규모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실제로 두산중공업은 지난 16일, 또 다른 주력 사업인 수처리 부문에서 영국 최대 상하수도 사업자인 템즈워터(Thames Water)로부터 길퍼드 하수처리장 이전(Guildford Sewage Treatment Works Relocation)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두산중공업의 영국 자회사인 두산엔퓨어가 영국 밤 누탈(BAM Nuttall)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주계약자로 사업에 참여하는 형태이며, 총 사업비는 약 1800억원이다.
 
학계 관계자는 “발전 사업의 특성상 빠른 수익 확대는 어렵겠지만, 시장 확대가 확실한 가스터빈·풍력발전 분야에서 기술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시간이 지나면서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에 휘둘리지 않고 높은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성훈 기자 voice@etomato.com
 
제보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