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사 미래차 현주소)①현대모비스, 발 빠른 대응…매출처 다변화는 숙제
전기·수소·자율주행차 연구 및 JV 활발…수소연료전지는 세계 정상급
상반기 현대차·기아 매출 80% 육박…고객사 다변화 급선무
공개 2022-10-12 06:00:00
코로나19로 미래차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전염병이 환경오염에 기인했다는 원인 분석에 친환경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글로벌 완성차업계는 2030년이 되면 세계 자동차 중 절반 이상이 전기차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완성차업계와 동반해 성장해야 하는 것이 부품 산업이다. 10년도 안 남은 전기·수소차 대세 시대, 우리 부품업계의 미래차 준비 상황을 알아본다.(편집자 주)
 
[IB토마토 이하영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에는 총 5개의 부품사가 있다. 현대모비스(012330)를 포함해 현대위아(011210), 현대트랜시스, 현대케피코, 현대오트론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각각 모듈·AS, 열관리·가솔린엔진, 변속기·시트, 엔진제어·연료분사, 전자제어 등의 제작을 담당한다.
 
이 중 가장 주목받는 곳은 현대모비스다. 전신인 현대정공은 1991년 갤로퍼를 출시해 국내 SUV 시장에 돌풍을 일으켰다. 현대모비스는 부품뿐만 아니라 완성차까지 제작 가능할 정도로 자동차에 대한 이해가 높다는 방증이다.
 
자동차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기·수소·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장을 발 빠르게 준비한 것도 현대모비스다. 현대차그룹이 2020년 밝힌 새 비전인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도, 자율주행·전동화·수소연료전지 사업을 모두 영위하는 현대모비스가 핵심이다.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사진=현대자동차)
 
자율주행은 자동차가 사람 대신 운전하는 기능을 뜻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종 지형지물이나 주변 차량과의 간격 등은 물론이고 교통신호, 사람이나 동물의 동선도 파악돼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사물을 구별하는 카메라, 전체적인 거리와 위치를 알려주는 레이더, 적외선을 이용해 대상을 3차원으로 정밀하게 파악하는 라이다 기술 등이다.
 
현대모비스는 자체적으로 초소형 레이더, 자율주행 대면 착좌 구조를 고려한 에어백 개발, 자율주행 차량용 MDPS 제어로직 개발, 전기모터차량용 회생제동토크 슬립제어기 개발 등을 연구하며 실력을 쌓았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핵심 역할을 하는 카메라 센서를 비롯해 레이더, 라이다 기술은 물론이고 첨단운전보조장치(ADAS) 기술도 보유 중이다. 최근에는 5G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실시간 연결로 자율주행과 커넥티드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차량용 5G 통신 모듈’도 선보였다.
 
기술 영역 확장은 관련 기업 투자로도 진행된다. 2018년에는 딥러닝 기반 카메라 센서 관련 핵심 기술을 보유한 국내 스타트업 스트라드비젼에 투자를 시작했다. 지난 9월 기준 총 6.38%의 지분을 투자했다. 2019년에는 라이다 선두업체 미국 밸로다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600억원 규모를 투자했다. 현대차(005380)·기아(000270)와 함께 세계적인 차량용 전장부품 및 자율주행 전문 기업인 앱티브와 조인트벤처(JV)를 맺기도 했다. 앱티브와의 JV 구축으로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레벨4·5 관련 부품 기술력 확대가 예상된다.
 
현대모비스는 미래 상용차 시장 주력모델로 예상되는 수소전기차 개발에도 힘써 왔다. 2013년 수소전기차 핵심 부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했으며, 2018년 현대차가 출시한 수소전기차 넥쏘에 수소연료전지를 공급 중이다. 2020년 이후에는 CES 등에서 꾸준히 수소연료전지 부스를 만들어 첨단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 부문에서는 현대모비스가 세계 정상급이라 볼 수 있다.
 
 
상반기 그룹사 매출 76.8%…고객사 다변화 급선무
 
현대모비스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공장설비 등 자본적지출(CAPEX)과 운전자본 증가 등이 재무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높은 그룹사 의존 비율도 숙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모비스 매출은 2018년 35조1492억원에서 지난해 41조7022억원으로 4년새 18.4% 증가했다. 그러나 동기간 영업이익은 2조250억원에서 2조401억원으로 0.7% 상승하는데 그쳤다. 매출이 6조원 넘게 성장하는 동안 영업이익은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에프앤가이드는 현대모비스의 올해 총 영업이익(2조50억원)이 전년 대비 1.7% 감소할 것으로 예측해 재무불안을 키웠다.  
 
주요 매출이 그룹사인 현대차(005380)기아(000270)에 한정돼 있다는 점도 아쉽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반기보고서에 주요 매출처를 현대자동차 및 그 종속회사와 기아 및 그 종속회사라고 밝혔다. 현대모비스 매출에서 각각의 비율은 41.1%, 35.7%로 총 76.8%에 달한다. 대부분의 매출이 그룹사에서 발생한다는 얘기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도 현대모비스의 향후 사업전망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사 다변화가 급선무라고 입을 모은다.  
 
또 다른 문제는 늘어나는 지출에 있다. 최근 현대모비스는 미국에 13억 달러(약 1조8000억원)를 투자해 2023~2030년까지 전동화 전용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8년에 걸쳐 투자가 진행된다고 해도 한해 2500억원 상당은 지출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유럽 등 신진 시장에 현대차·기아와 보조를 맞춰 진출해야 하는 만큼 향후 투자비용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투자가 늘며 올해 부채총계도 지난해 대비 1조원 이상 상승할 전망이다. 에프앤가이드는 현대모비스 부채총계가 지난해 16억1251억원에서 올해 17조3885억원으로 7.8%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팔지 못하고 창고에 남는 재고자산이 느는 것도 부담이다. 코로나 팬데믹이 휩쓸었던 2020년은 오히려 2019년과 비교해 재고자산이 200억여원 늘어나는데 그쳤으나, 지난해는 전년 대비 1조2000억원 상당 늘며 부담을 키웠다.   
 
공급 병목현상에 운송비와 원자재 가격까지 치솟아 지난해 순운전자본도 2020년 대비 20.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매출원가는 △2021년 3분기 8713억원 △2021년 4분기 1조140억원 △2022년 1분기 1조65억원 △2022년 2분기 1조921억원 등으로 4분기 만에 2208억원 상승했다. 
 
에프앤가이드는 현대모비스의 잉여현금흐름(FCF)도 지난해 1조6870억원에서 올해 1조2890억원으로 23.6%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FCF는 영업현금흐름에서 CAPEX 투자 비용을 뺀 비용으로 기업이 투자나 배당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여력을 뜻한다.
 
다만, 모든 비용이 상승하는 와중에도 부채비율이 40%대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에프앤가이드는 현대모비스 부채비율이 올해도 46.8%로 5년 연속 50%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신윤철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대차·기아의 2022년 연간 글로벌 생산량이 약 690만대 수준으로 추정된다”라며 “양사의 하반기 생산량 회복이 더욱 가시화될 경우 모듈 및 핵심부품 부문 실적의 추가적인 개선도 기대된다”라고 평가했다.
 
이하영 기자 greenbooks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