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건설, 흑자 전환에도 수익성은 '비상등'
구조조정·유상증자 힘…미분양·장기미착공 사업 우려 여전
공개 2019-08-14 09:00:00
[IB토마토 손강훈 기자] 두산건설(011160)이 2분기 실적 회복과 재무구조 개선에 성공했다. 다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우려되는 부분이 꽤 많다. 구조조정과 대규모 유상증자를 통한 일시적인 성과이기 때문이다. 두산건설의 근본적인 정상화를 위해서는 주택 사업의 수익성 회복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두산건설의 올해 2분기 매출은 4192억원, 영업이익 213억원, 당기순이익은 9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7%, 영업이익은 61.4%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3월말 기준 2조538억원이었던 부채는 6월말 1조7055억원으로 감소하며 1분기 614%였던 부채비율이 2분기 262%로 하락했다. 순차입금은 전기보다 38.5%가 줄어든 540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활동으로 금융비용을 갚아나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이자보상비율은 1분기 32.4%에서 2분기 106.2%로 올랐다. 차입금 감소로 이자비용이 줄어들면서 자체 수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하고도 추가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준인 100%를 돌파했다.
 
두산건설 2019년 상반기 실적. 출처/두산건설.
 
이 같은 성과를 낸 이유는 구조조정과 유상증자 때문이다.
 
지난 2월과 3월 두산건설은 희망퇴직을 실시했고 퇴직금 등 일시적으로 발생한 178억원 비용이 1분기 실적에 반영됐다.
 
두산건설은 구조조정을 통해 올해 약 40억원의 판관비 절감 효과를, 내년부터는 연간 300억원 정도의 비용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실제 상반기 실적 핵심사항 중 하나로 ‘인력 및 조직 축소에 의한 고정비용 절감 구조 확보’를 꼽았다.
 
두산그룹은 지난 2월 두산건설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42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며 그 결과 5월에 3154억원 규모의 자금이 수혈됐다.
 
단기 처방에 그칠 수도
 
경영정상화의 핵심은 수익성이다. 구조조정, 유상증자 모두 일시적 성과를 내는 단기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두산건설은 2분기 영업이익 213억원, 영업이익률 5.1%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는 물론 1분기(영업이익 71억원, 영업이익률 2%)보다 양호했다. 그러나 구조조정으로 인해 1분기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 178억원을 제외할 경우 1분기 영업이익은 249억원으로 오히려 2분기보다 많아진다.
 
이는 각종 사업 관련 이익이 제자리걸음에 그쳤다는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매출 기반에 관련된 수주잔고는 6월말 기준 7조원으로 당분간 안정적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나 잔고의 62.9%가 주택에 집중돼있는 점은 불안정성을 키운다. 두산건설의 7월까지 주택 공급 달성률은 30%를 넘지 못했다. 하반기 반등을 노리기에는 국내 주택시장이 정부의 각종 규제로 얼어붙어 있다.
 
여기에 신규수주액은 지난해 상반기 8329억원에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2835억원에 불과했다.
  
3월말 기준 두산건설 주요 준공, 미착공사업 미수채권 및 PF우발채무 현황. 출처/한국기업평가.
 
미분양·장기 미착공 사업 여전
 
두산건설은 지난 2018년 551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미분양과 장기 지연사업, SOC 사업의 통행량 감소 및 운임 정책 변경(지하철 신분당선)으로 인한 예상 손실비용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실제 미분양으로 속을 썩였던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1646억원, 장기 미착공 사업인 천안 청당 361억원, 용인 삼가 208억원 등이 대손상각 처리됐다.
 
문제는 손실 반영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의 경우 분양 물량의 상당수가 환매조건부 매각과 전세분양으로 구성돼 있다. 지속적인 미분양 해소 노력이 필요하지만, 정부의 3기 신도시 발표로 일산 아파트값이 내림세를 기록 중이라 쉽지 않다.
 
천안 청당, 용인 삼가의 착공은 아직도 지지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 기준 천안 천당은 1800억원, 용인 삼가는 1100억원 등 총 2900억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우발채무가 잡혀 있다. 사업이 늦어질수록 우발채무 현실화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최한승 한국기업평가 수석 연구원은 “대손 충당금 설정에도 불구하고 향후 분양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할 경우 잔존 영업 채권에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장기 미착공 사업의 추진이 지연될 경우 관련 보증 채무의 현실화로 인한 추가적인 자금 부담 및 손실 발생 가능성이 높다”라고 평가했다.
 
손강훈 기자 riverhoon@etomato.com
 
관련 종목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