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드라이브)①전기차 넘어 수소로…완성차 기업들의 차세대 전략
현다차·도요타 수장 한국서 수소 관련 미팅
포스코까지 수소 기술 새로운 전략 모색 강화
수소충전소 확충 등 정부 지원 서둘러야
공개 2024-09-19 06:00:00
오는 10월, 세계 1위와 3위 글로벌 완성차 기업인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현대자동차의 수장이 한국에서 만난다. 그들이 논의할 주요 의제는 '수소 생태계 구축'이다. 수소가 어떤 에너지원이기에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정부보다 앞서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는지, 전기차 보급이 정체된 상황에서 수소는 안전성 측면에서 어떤 장점을 지니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편집자주)
 
[IB토마토 권영지 기자]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수소 생태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전기차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과 기술적 한계를 경험한 이들은, 수소 기술을 새로운 전략으로 채택해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장거리 주행이 필요한 대형 차량과 중공업 분야에서 수소의 활용 가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 모델은 수소 생태계 구축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기차 시장의 한계와 수소로의 전환
 
12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시장은 그동안 급격히 성장했지만, 완성차 기업들이 직면한 여러 한계점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의 한계다. 전기차는 현재 주행거리가 제한적이며, 충전 시간도 내연기관 차량보다 훨씬 길다. 또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 코발트 등의 희귀 자원에 대한 의존도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자원 가격의 급등에 따라 전기차의 생산 비용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에서 점차 한계를 보이고 있다.
 
수소차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장거리 주행에서 나타난다. 대형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도 여전히 주행거리가 제한적이지만, 수소차는 장거리 운행에서도 충전 주기가 길고 충전 시간이 짧아 효율적이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대형 상용차에서 빛을 발한다. 트럭, 버스, 선박, 항공기 같은 대형 운송 수단에서는 배터리의 무게와 용량이 큰 제약 요소가 되지만, 수소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005380)가 출시한 수소전기 대형 트럭 '엑시언트'가 그 좋은 예다. 엑시언트는 독일과 이스라엘, 미국 등에 진출한 상태로 지난 6월 스위스에서는 누적 주행거리 1000만km를 돌파하기도 했다.
 
아울러 중공업 분야에서도 수소는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철강, 화학, 조선 등 에너지 소비가 많은 산업에서 탈탄소화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데, 그 솔루션으로 수소가 제시되고 있다. 수소는 대규모 에너지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향후 중공업 분야에서도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와 기업 간의 역할 분담 및 협력
 
이에 최근 몇 년간 현대차를 비롯한 민간 기업들이 정부보다 앞서 수소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는 수소차 개발과 수소 인프라 확대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수소 경제 활성화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의 넥쏘는 상용화된 수소차 중에서 가장 높은 주행거리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또 현대차는 상용 수소트럭 개발 및 공급에도 힘쓰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중교통과 물류 산업의 탈탄소화를 이끌고 있다.
 
이 외에도 SK(003600), 포스코와 같은 대기업들도 수소 생산, 저장, 운송 등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K는 수소 생산과 유통, 포스코는 수소 기반 철강 생산 기술을 개발하며 각자의 산업에서 수소 활용을 선도하고 있다. 이처럼 민간 기업들이 먼저 나서서 수소 경제의 청사진을 그려나가고 있지만, 수소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업계에서는 수소 생태계 구축이 정부와 기업 간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평가한다. 수소 생산에는 대규모 초기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의 재정적 지원은 필수적이다. 그린수소(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와 블루수소(탄소 포집 기술을 적용한 수소)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지원도 정부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부분이다. 특히 수소 인프라의 확충이 중요해 수소 충전소와 저장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기업과 정부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
 
아울러 현재 수소 생산 비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그린수소의 경우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전력 비용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충과 그린수소 생산을 촉진할 수 있는 재정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수소 인프라 부족도 정부가 지원해서 해결해 나가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현재 수소 충전소와 저장시설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로, 소비자들이 수소차를 구매하는 데 있어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정부는 내년까지 450개의 수소 충전소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현재 충전소 수는 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450개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겠다는 발표를 한 지 4년 가까이 돼 가지만 아직 절반도 만들지 못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호근 교수는 정부의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기업은 적자가 나더라도 미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연구개발을 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각종 규제들에 따른 장애물이 너무 높다는 문제가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이런 부분을 꼼꼼히 짚어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규제는 완화 또는 삭제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권영지 기자 0zz@etomato.com
 

권영지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