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호대출 1위 국민은행, 코로나발 건전성 악화 '초비상'
코로나19로 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높아질 듯
국민은행 "여신 성장보다 건전성 관리에 더욱 힘쓸 것"
공개 2020-03-26 09:20:00
이 기사는 2020년 03월 24일 14:43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윤준영 기자] '코로나19'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매출에 직격타를 맞으며 위기 국면에 내몰리자 KB국민은행의 건전성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KB국민은행은 개인사업자(소호·SOHO) 대출 규모가 크게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24일 국민, 하나, 신한, 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연간 기업 대출로 분류되는 대출 가운데 개인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종합해보면 KB국민은행이 66%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약 51%로 비슷한 수준이고 우리은행은 50%로 집계된다. 
 
 
전체 원화대출금 중 기업 대출로 분류되는 개인사업자 대출의 비중을 따져봐도 국민은행이 25.70%로 크게 앞선다. 하나은행(20.60%), 신한은행(20.70%), 우리은행(18.11%)이 뒤를 잇는다. 
 
2019년 기준 기업 대출로 분류되는 개인사업자 대출 규모는 국민은행이 69조2000억원으로 신한은행(46조7850억원), 하나은행(45조670억원), 우리은행(44조44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연간으로 5.5% 증가한 것으로 국민은행의 기업 대출 분야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국민은행은 옛 주택은행과 합병한 뒤로 가계대출 비중이 컸지만 최근 수년 동안 대출 다각화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그중에서도 특히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을 늘리는 데 주력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해당 분야 연체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개인사업자의 대출 연체는 은행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국민은행의 건전성 비율 관리는 더욱 중요해 보인다. 
 
윤소정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3월 초 국민은행 신용등급 리포트를 통해 “국민은행은 중소기업 대출 중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이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으며 최근 연체율이 오르고 있어 주시할 필요가 있다”라고 봤다. 
  
신용평가사의 한 관계자도 “아무래도 제주은행이나 대구은행 등 지방은행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면서도 “시중은행 중에서도 국민은행 등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이 큰 곳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은행권에서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 대출을 늘려왔기 때문에 (코로나19에 따른) 타격이 있을 것”이라며 “도소매업, 숙박업, 음식업 등에서 대출이 연체되면 건전성 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 원화대출금 구성비중. 출처/한국신용평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민은행은 부실채권 관리 부담이 나날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은행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금융지원에 나서며 딜레마에 빠졌다. 국민은행은 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85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코로나19 피해 기업 등에 대한 지원이 은행의 자본건전성 등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면책조치를 하겠다는 구상을 내비치고 있어 당장은 시중은행들이 건전성 비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을 수 있다. 정부는 지난 19일 원금만기연장, 이자상환유예, 소상공인 유동성지원 등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을 위한 대책을 잇달아 내놨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으로 전 금융권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출 만기를 6개월 이상 연장해둔 만큼 원금상환이 유예된 대출에 한해서는 부실채권으로 분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코로나19에 따른 여파를 예의주시하는 한편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금융지원에 힘쓰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여신 성장 제한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라면서 “성장성보다는 건전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리스크 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평가사의 또 다른 관계자는 “4대 시중은행도 코로나19 여파를 피해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연체된 채권이라고 하더라도 만기 이전에 채권을 판매하면 건전성 비율을 관리할 수 있는 만큼 연체율 숫자만으로 건전성 관리를 진단하기는 무리가 있다”라고 말했다. 
 
윤준영 기자 junyoung@etomato.com
 
제보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