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토마토 정준우 기자] 부산교통공사가 만성적인 영업손실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부산광역시가 실질적으로 회사채 상환 의무를 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하철 노선 확충 등에 따른 차입 증가로 재무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지만 차입 상환 부담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부산교통공사)
5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의 영업손실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5052억원으로 직전연도(5205억원)보다 줄었지만 2019년(영업손실 3509억원) 대비 크게 확대됐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도 적자가 이어지는 중이다. 지난해 공사의 EBITDA 적자 규모는 3670억원이다. 공공성이 높기 때문에 수요에 대응한 운임 설정이 제한되며, 부산 지역 인구 고령화에 따른 무임승차 증가로 수익성 개선은 어려운 상태다.
반면 매출은 증가하는 추세다.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운임을 인상했고, 대중교통 이용 수요도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2024년 매출은 3155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2019년 매출 3112억원) 수준을 회복했다.
(사진=한국기업평가)
다만, 재무구조 저하를 막기는 어렵다. 노후 전동차량 교체 및 시설 보수 등에 투자가 이뤄지고 있고, 전철 노선 확충에 따른 부담이 크다.
공사는 투자 부담을 외부 차입금으로 해소하고 있다. 지난해 총차입금은 1조1599억원으로 2019년 대비 1.9배가량 증가했다. 이에 차입금의존도도 28.2%에 달했다.
수익성 대비 차입금 부담이 과중하지만 실질적인 상환 부담은 낮다.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부산광역시가 원리금 상환을 대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 2005년 정부와 부산시가 합의한 공사 채무 상환 관련 내용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부산시가 인수한 원리금 잔액은 5050억원 정도다.
공사는 매년 중앙정부와 부산시 지원에 기대어 부족한 현금흐름도 일부 충당하고 있다. 도시철도 건설 비용은 정부와 지자체가 나눠서 부담하고 있고, 설비 등 유형자산 취득 등 투자 재원 일부는 부산시가 보조한다. 또한 매년 운영 지원금 명목으로 부산시가 보조금 등을 출연한다. 지난해 부산시가 공사에 출연한 자금은 573억원, 노선 등 자산에 관련한 정부 보조금은 286억원에 달한다.
부산시는 지방공기업법 및 부산교통공사 설치 조례에 근거해 공사의 차입금에 대해 원리금 상환 보증 의무를 명시한 바 있다. 이에 시의 우수한 재정건정성이 공사 재무안정성으로 이어진다. 공사의 무보증사채 등급(AAA안정적)은 재무구조 저하에도 불구하고 부산시의 상환 의무를 반영해 책정됐다. 부산시는 공사 차입금 상환 대행 의무뿐 아니라 운임 인상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적자를 보전해 주는 등 다양한 재무 지원을 하고 있다.
김경률
한국기업평가(034950) 책임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운임인상, 사상-하단선 및 양산선 등 신규 노선 개통에도 불구하고 부산교통공사의 수익성 개선 여력이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정부와 지자체 지원 바탕으로 현재 수준의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정준우 기자 jwj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