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석유화학산업은 중국의 공급과잉, 글로벌 경기 둔화, 유럽 및 동북아의 저효율 설비 폐쇄 가능성 등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고환율 기조도 시장에 추가적인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업체들은 구조조정, 사업 다각화, 재무 안정성 확보 등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IB토마토>는 변화하는 산업 지형 속에서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의 대응 방향을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주)
[IB토마토 권영지 기자] 국내 석유화학업계가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될수록 국내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조치하면서 중국 석유화학업계는 감산을 단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공장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산 빈자리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석유화학 4사, 전년 대비 수익성 '감소'
한화솔루션 역시 영업손실 300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6.7% 감소한 12조3940억원을 기록했다. 신재생에너지 및 석유화학 부문의 동반 부진이 영향을 미쳤으며, 케미컬 부문에서만 영업손실 1213억원이 발생했다.
롯데케미칼은 20조403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영업손실이 8948억원으로 확대되면서 가장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3년 연속 적자가 이어졌으며, 순손실도 1조8020억원에 달했다. 기초소재사업에서 175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금호석유화학은 석화 4사 중 가장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 7조1550억원, 영업이익 2728억원을 달성했으며, 특수합성고무(EPDM) 및 친환경고무(TPV) 사업의 호조가 실적을 견인했다. 하지만 페놀유도체 사업과 합성수지 사업에서 각각 179억원, 18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하며 전반적인 이익 감소를 피할 수 없었다.
석유화학업계 한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중국의 공급과잉과 저가공세가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수익성 저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중국 석유화학업계 감산 움직임…업계, 반사이익 '기대'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석유화학업계에 변수가 발생했다. 영국 정유·화학산업 조사기관 ICIS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으로 인해 중국 석유화학업계는 감산을 시작했으며, 일부 업체는 생산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PE(폴리에틸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등 주요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가 감소하는 동시에 가격이 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석유화학기업들은 지난해 12월부터 미국 관세 정책을 의식해 밀어내기 수출을 진행했으나, 지난 4일부터 미국의 고관세가 중국에 적용되면서 가동률을 더욱 낮추는 분위기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로 중국의 석유화학 공급과잉이 일부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공급 부족으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 석유화학 제품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보수적 낙관론도 제기된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국내 석유화학업계에 미칠 영향은 복합적이다. 먼저, 중국 석유화학업계가 감산을 단행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다. 국내 업체들은 현재 NCC(나프타 분해설비) 가동률을 70~80%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데, 중국이 감산을 지속하면 국내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롯데케미칼은 NCC 생산능력을 80%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대응하고 있으며, LG화학 역시 NCC 가동률을 70~80% 수준으로 조정하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업체들은 범용 제품 생산에서 중국과 경쟁하고 있는 만큼, 중국의 감산이 국내 업체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중국이 미국의 고관세로 생산을 줄이면 국내 NCC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이 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의 과잉 공급 문제가 해소되면 그 빈자리를 국내 제품이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영지 기자 0zz@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