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오너 3세 설익은 리더십…정기선표 사업 ‘낙제점’
글로벌서비스, 부채비율 역대 최고·영업이익률 분기 최저
로보틱스, 적자 지속·영업이익률 마이너스 전환
3세 경영 승계 앞두고 성과 창출 골머리
공개 2021-05-10 09:20:00
이 기사는 2021년 05월 06일 17:56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이가영 기자] 현대중공업그룹 오너 3세인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267250) 부사장의 경영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정유와 건설기계 등 주력사업 실적 회복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경신했지만 정 부사장이 진두지휘하고 경영 승계의 핵심으로 꼽히는 현대글로벌서비스와 현대로보틱스는 역성장을 기록한 탓이다. 정 부사장이 야심 차게 추진 중인 수소·바이오·인공지능(AI) 등 신성장동력의 수익성 확보 시점이 불투명한 가운데 기존 신사업의 성장세도 뒷걸음질 치면서 그룹의 고민은 깊어질 전망이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지주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755억원, 영업이익 534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1.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에서 큰 폭의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현대중공업지주가 2017년 4월 설립된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현대중공업지주 1분기 호실적은 매출의 71%를 차지하는 현대오일뱅크의 약진 덕분이었다. 지난해 593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현대오일뱅크는 수요 회복에 따른 유가상승과 정제마진 개선, 윤활기유 시황 호조 등으로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4조5365억원, 영업이익은 4128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7% 늘었고 흑자전환에도 성공했다.
 
동시에 현대건설기계(267270)의 활약도 현대중공업지주의 호실적을 뒷받침했다. 연결기준 현대건설기계는 매출 9646억원, 영업이익 79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1.6% 늘었고 영업이익은 644.9% 급증해 사상 최대치를 도달했다. 제품 라인업 다양화와 영업망 확대로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 선전한 영향이 컸다.
 
지주 전체 매출의 86.1%를 차지하는 주력사업이 실적을 견인한 모양새다. 현대오일뱅크와 현대건설기계 두 회사에서 발생한 영업이익은 4925억원으로 현대중공업지주 전체 영업이익의 92.2%를 차지한다.
 
반면 현대글로벌서비스와 현대로보틱스 등 기존에 진행해온 신사업 부문의 부진은 두드러졌다. 글로벌 업황 침체가 지속되면서 성장세가 주춤한 모양새다. 특히 현대글로벌서비스의 경우 부채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도 분기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현대오일뱅크와 한국조선해양 등 주력 회사의 부진 속에서 나홀로 성장세를 자랑하던 때와는 상반된 분위기다.
 
올 1분기 연결기준 현대글로벌서비스는 매출 2378억원, 영업이익 23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3%, 24.0% 줄어든 수준이다. 설립 이듬해 23.4%까지 치솟았던 영업이익률은 올 1분기 10%까지 떨어졌다. 전년 동기 11.5%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으로 출범 이래 최저치다. 2018년 932억원, 2019년 1830억원, 2020년 2143억원으로 증가세였던 이익잉여금은 올해 1분기 기준 861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기업의 위험신호로 보는 부채비율도 331.7%까지 치솟으며 직전 분기 대비 약 250%포인트(p) 뛰었다. 계절적 비성수기라는 점을 감안, 전년 동기 145%와 비교하더라도 186.7%p나 높다. 현대중공업지주의 주요 연결회사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성장세가 뒷걸음질 치면서 2018년 2187억원이었던 자기자본은 2019년 3082억원을 기점으로 2020년 2543억원, 올 1분기 1261억원으로 감소를 거듭했다.
 
 
 
지난해 5월 새롭게 독립 법인으로 출범한 현대로보틱스 또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현대로보틱스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447억원, 영업손실 2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2.6% 줄었고, 적자도 지속됐다. 가격 경쟁이 심화된 가운데 배터리 제조 자동화 등 신규사업에서 손실이 발생했고 중국법인과 현대엘앤에스(L&S)에서도 손실이 발생한 탓이다. 지난해 1분기 –1.8%였던 영업이익률도 –5.8%로 하락했다.
 
현대로보틱스는 공식 출범 후 줄곧 부진한 실적을 이어오고 있다. 코로나19로 거의 모든 제조업이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산업용 로봇을 주력으로 하는 현대로보틱스가 좋은 실적을 거두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사실상 첫 성적표였던 지난해 3분기 현대로보틱스는 매출 551억원, 영업이익 2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5%, 68.7% 줄어든 수준이다. 이어 같은 해 4분기에도 매출 863억원, 영업손실 13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같은 기간 보다 매출은 16.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했다. 영업이익률도 –1.5%로 직전분기 4%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조선·정유 등 주력사업의 부진에서 벗어나고자 육성해오던 신사업의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현대중공업그룹의 고민은 깊어지게 됐다. 현대글로벌서비스와 현대로보틱스가 차기 총수인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 부사장이 신성장동력으로 점 찍어 키워오던 사업이라는 점에서다. 
 
현대글로벌서비스는 2016년 현대중공업의 애프터서비스(AS) 부문을 물적 분할해 출범한 회사다. 정 부사장이 2018년부터 대표이사를 맡아 진두지휘하고 있다. 설립 이듬해인 2017년 매출 2403억원, 영업이익 564억원에 그쳤던 현대글로벌서비스는 안정적인 계열사 수요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 설비 리트로핏(개조) 수요 증가로 거듭 성장을 이어왔다. 정 부사장의 공격적인 사업 확장 행보도 회사의 외형 확대를 견인했다. 이에 따라 설립 5년만인 지난해에는 매출 1조90억원, 영업이익 1566억원까지 덩치를 불리며 그룹의 알짜 자회사로 거듭났다. 성장세에 힘입어 올해 초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를 통해 8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데도 성공했다. 당시 지분을 사들인 미국 사모펀드 KKR은 현대글로벌서비스의 기업가치를 약 2조원으로 산정한 바 있다.
 
현대로보틱스 또한 정 부사장이 직접 챙겨온 온 회사다. 대표는 맡고 있지 않지만 굵직한 프로젝트에서 얼굴을 비추며 존재감을 증명하고 있다. 현대로보틱스 분리 직후 KT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에 직접 참여해 500억원을 수혈해온 것이 대표적이다. 이에 현대로보틱스는 정 부사장의 두 번째 경영능력을 증명할 시험대로 평가받아왔다. 현대중공업그룹 또한 현대로보틱스 출범 당시 2022년 기업공개 추진, 2024년 매출 1조원에 영업이익 1000억원을 달성하겠다며 그룹 차원의 육성을 드러낸 바 있다. 지난해에는 시너지 효과 확대 차원에서 현대중공업지주가 갖고 있던 현대엘앤에스 지분을 전량 넘겨주기도 했다.
 
현대글로벌서비스와 현대로보틱스의 성과를 정기선 부사장의 성과로 연결해도 무방한 이유다. 현재 정 부사장은 그룹의 미래 사업 방향 제시와 투자를 집행하는 경영지원실장을 맡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는 그룹의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발족한 미래위원회의 위원장을 겸임해 ▲AI·로봇 ▲디지털 헬스케어 ▲선박 자율운항 ▲수소연료전지 등 신사업도 이끌고 있다. 하지만 해당 사업들의 경우 신사업인만큼 수익성 확보 시점이 불투명하다. 경영 승계를 위한 실적 쌓기가 절실한 상황에서 정기선 부사장의 부담은 상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게 재계의 관측이다.
 
현대중공업지주 관계자는 <IB토마토>에 “현대글로벌서비스의 경우 설비 등이 없고 인력 위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보니 자본금이 적다”라며 “일시적으로 현금 유출입이 생기면 부채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2분기부터는 매출 개선이 전망돼 부채비율이 낮아질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이가영 기자 young861212@etomato.com
 
제보하기 0